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최저시급 및 최저입금 계산(+모의계산기)

by 가호 정사장 2025. 2. 8.

2025년에는 대한민국의 최저시급이 드디어 1만 원을 돌파했습니다.


하지만, 이를 환영하는 목소리보다 우려의 목소리가 더 크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 

2025년 최저임금: 10,030원 (전년 대비 170원 ↑, 1.7% 인상)
월급: 2,096,270원 (주휴수당 포함, 주 40시간 기준)
최저임금 상승률: 1.7% (역대 두 번째로 낮은 인상률)
2024년 물가 상승률: 2.3% → 실질 구매력 하락 가능성

 

소득이 오르면 생활이 나아져야 하는데, 현실은 왜 반대일까요?


"최저임금이 인상됐는데도, 체감 소득은 줄어드는 이유"


지금부터 월급 계산부터 경제적 영향까지 꼼꼼하게 분석해볼까요?

 

 

2025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

2025년 최저임금으로 한 달에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?

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급을 계산해보겠습니다.

 

2024년 vs 2025년 최저 시급 비교

구분 2024년 2025년
최저 시급 9,860원 10,030원
일급 (8시간 기준) 78,880원 80,240원
월급 (주휴수당 포함) 2,062,740원 2,096,270원
연봉 (세전) 약 24,752,880원 약 25,155,240원

 

포인트

  • 최저 월급 = 시급 × 월 근무시간(209시간)
  • 주휴수당(유급휴일 포함)이 적용되면 월급은 209만 원 이상
  • 수습 기간(3개월 이내) 적용 시, 최저임금의 90%인 9,027원 적용 가능

주의할 점

  • 주 15시간 미만 근무자는 주휴수당 X → 월급이 줄어듦
  • 주 40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, 초과 근로수당(연장·야간·휴일 근무 수당) 발생

그렇다면, 이번 인상은 근로자들에게 실제로 도움이 될까요?

 

 

 

 

 

2025년 최저임금 인상률, 왜 이렇게 낮을까?

"최저임금 1만 원 돌파"라는 타이틀은 화려하지만, 이번 인상률은 **단 1.7%**로, 역사상 두 번째로 낮은 증가율입니다.

 

과거 최저임금 인상률 비교

 

  • 2019년: 10.9% 증가
  • 2020년: 2.9% 증가
  • 2021년: 1.5% 증가 (역대 최저)
  • 2022년: 5.1% 증가
  • 2023년: 5.0% 증가
  • 2024년: 2.5% 증가
  • 2025년: 1.7% 증가 (역대 두 번째로 낮음)

📉 최저임금 인상률이 낮은 이유는?
1️⃣ 국내 경기 침체 및 기업 부담 증가
2️⃣ 자영업자의 인건비 부담 가중 우려
3️⃣ 물가 상승 대비 인건비 상승 속도 조절 필요

하지만 문제는?

  • 2024년 물가 상승률이 2.3%인데, 최저임금 인상률은 1.7% → 실질 구매력 하락
  • 최저임금이 오르더라도 생활비 부담은 여전히 크다는 점이 문제

그렇다면, 이러한 인상으로 인해 경제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?

 

 

 

 

 

2025년 최저임금 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

1️⃣ 근로자에게 미치는 영향

소득 증가 → 소비 여력 증가
주휴수당 포함 시 월급 209만 원 이상
🚨 실질 구매력 하락 (물가 상승률 > 최저임금 인상률)

2️⃣ 자영업자 및 기업에 미치는 영향

🚨 인건비 부담 증가 → 고용 축소 가능성
🚨 최저임금 미준수 시 법적 처벌 (징역 3년 이하 또는 벌금 2,000만 원 이하)

3️⃣ 고용 시장 변화

📉 일자리 감소 우려 (최대 6.9만 개 감소 전망)
📈 청년층 및 아르바이트생 단기 소득 증가 가능성

💡 최저임금이 오르면 일자리가 줄어든다고?

  • 최저임금 인상 시, 일부 사업장은 인건비 부담으로 인해 고용을 줄이거나 근로시간을 단축
  • 반면, 일부 근로자들은 최저임금 상승으로 소득이 증가

결국, 누가 혜택을 보고, 누가 부담을 지는지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것입니다.

 

 

 

2025년 최저임금, 앞으로의 과제는?

💡 지금 필요한 정책은?
최저임금과 물가 상승률의 균형 조정
중소기업·소상공인을 위한 세금 감면 및 정부 지원 강화
근로자의 실질 소득 보장을 위한 추가 대책 마련

 

 

 

결론: 최저임금 1만 원 시대, 정말 행복할까?

2025년 최저임금이 1만 원을 돌파했지만, 현실은 기대만큼 낙관적이지 않습니다.


소득이 증가하더라도,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면 체감 소득은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.

 

📌 최종 정리 ✔ 2025년 최저임금: 10,030원 (1.7% 인상,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증가율)
✔ 월급: 2,096,270원 (주휴수당 포함, 주 40시간 근무 기준)
✔ 실질 소득 감소 우려 (물가 상승률 2.3% vs 최저임금 인상률 1.7%)
✔ 자영업자의 부담 증가 → 일자리 감소 가능성

 

 

지금까지 2025년 최저시급 및 최저임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.

 

정리한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